Works    Archive    Jobs    Studio    soir    Contact

CHANGGO 43 — Time Well Aged



창고 43은 숙성 한우의 깊은 맛과 4계절의 풍미를 선보이는 다이닝 브랜드입니다. 서여의도점을 시작으로, 우리 고유의 4계절과 산지의 자연을 예찬하며, ‘3미(三味)’로 응축한 전체론적 다이닝 경험을 공간에 구현하고자 강화된 브랜드 전략과 스토리텔링을 과업의 재료로 삼아, 사용자 경험 포인트를 설계하고 주요 집기와 기물, 사인 시스템을 리뉴얼했습니다.

창고43의 공간에 펼쳐낸 사계절의 맛(味), 감각(醚), 아름다움(美)의 다이닝 여정은 사이니지, 서빙카트나 테이블 차림에 등장하는 사용기물에 깃든 공예적 손길로부터, 브랜드를 해석하여 선보이는 오리지널 아트웍에 이르기까지 고유의 색과 질감으로 공간에 녹아들며, 한우의 맛과 탁월하게 어우러집니다.

오브소 - 원석과 제비 모티프로 장식하여 온유한 정서로 기프트존을 밝히는 브랜드 오너먼트, 양유완 - 시간을 품고 호흡하는 기운을 형상화한 블로운 글라스, 스튜디오 석영 - 시그니처 와인카트와 서빙카트, 예약시스템 등 목물, 하르타 - 수렴하고 발화하는 계절의 순환과 시간성으로부터 칠의 기법과 색상을 변주한 옻칠 패널 등 주요 제작기물의 협업창작자는 물론 기물 설계와 설치 협력에 애써주신 헤르메스디자인과 다이닝브랜즈 디자인팀에 감사드립니다.

Photograph by Oh Yeon Soo at Araby Studio.
Project Details
TYPES OF WORK.  VMD Conception & Design, Signage System, Prop Styling Guide
USE.  Rebrand Changgo 43
NAME.  Changgo 43
COLOR.  Various
DIMENSION.  Various
MATERIAL.  Various
CLIENT.  DINING BRANDS
YEAR/PLACE.  Feb ~ May 2025 Seoul










In the Flow of Nature


20년 쌓아온 브랜드의 정성과 노하우 - 사계절의 맛이 머물고(味), 감미로운 분위기가 흐르며(醚), 기억에 남을 아름다움(美)을 담은 메세지를 축으로 삼아, 숙성되어 좋은 맛을 내는 우리 한우의 탁월함을 시각적, 촉각적으로 다이닝 공간에 드러냅니다. 시간에 길들여지며 깊이를 더하는 소재로 멋을 더한 공간 디자인(by U.lab)에 전통 공예의 손맛과 동시대 감각과 합하는 정제된 표현과 구조적 조형이 조화롭게 어우러져 문화적 감수성이 더해진 식경험을 창출하고자 했습니다.


Through the Sensuousness of Time


장내에 정취를 더하며 리드미컬하게 연속되는〈시간의 정원〉은 중간 공간에 위치하여 사용자 동선을 부드럽게 전환하며 정돈합니다. 걸음하며 시선의 이동에 따라 유리를 불어 만든 적층된 토템과 나무의 나이테를 닮은 모티프가 일렁이듯 자리하고 있어 맛의 역동성을 우아하게 드러냅니다. 곡선이 아름다운 덩굴 소재 어레인지먼트와 투명하고 온아한 빛이 어우러지며 사용자를 맞이합니다.

Balanced Structure and Handcrafted Detail


사용자의 손길이 닿는 모든 것 — 예약석 위에 조용히 놓인 안내물과 내구성을 강화한 테이블 소집기, 룸을 안내하는 표찰, 서빙을 돕는 카트류, 와인을 선보이는 악세서리와 특화된 프레젠테이션 — 은 사용할수록 넉넉하게 나이 들어가며 필요 시 수선이 가능하도록 지속성을 꾀한 소재로, 안정적인 구조와 공예적 완성도를 갖추어 제작되었습니다. 이에 세심히 살피는 마음과 노고가 더해져, 기물은 고색을 지니고 단단히 빛날 것입니다.


The Beauty of Enduring Resonance


순환하는 계절의 희망을 상징하는 제비와 마음의 회복을 상징하는 원석 모티프로 구성한 브랜드 시그니처 오너먼트는 입·퇴장하는 공간에서 정겨운 인사를 건넵니다. 4계절을 형상화하며 색조와 결을 달리한 옻칠 패널은 룸마다 구성을 변주하여 실내에 미감을 더하며, 흐르는 시간 속에서도 변함없이 이어지는 관계의 아름다움, 같은 계절을 함께 살아가는 이들의 조화로운 어울림을 예찬합니다.









Design List.
◦ Design Conception and Visualization
◦ Application System
    1. Sign System
    2. Pop System
    3. Menu & Tablet Display System
    4. Tabletop Accessories
◦ Styling and Visual Merchandise Design
    1. Wine Service Trolley & Accessories
    2. Hall Serving Cart
    3. Gift Zone Prop Styling
    4. Curated Works of Art & Craft
◦ Production Supervision & Fabrication Oversight
◦ Spatial Material & Styling Guidelines



    SCENERY of CHANGGO 43


    Signage




    Entrance & Reception





    Hall



    Private Dining Room



    Service Trolley & Accessories



    Other devices



    More Information Soon




    — View More Works in  #artdirection  #spacestyling  #vmd  #product  #changgo43  #2025




    RELATED PROJECTS

    ︎


    OLIVEYOUNG N SEONGSU — In the Zone, In the Groove



    올리브영이 새롭게 선보이는 랜드마크, 성수동에 위치한 플래그십 스토어는 뷰티와 헬스 카테고리의 역량있는 브랜드와 혁신적인 시각과 관점으로 다양한 컨텐츠를 사용자에 전하는 영감으로 가득한 공간입니다.

    살면서 모든 일이 순조롭게 흘러가며 운 좋게 진행되는 것처럼 느껴질 때가 있습니다. 브랜드가 지향하는 건강한 아름다움을 공간에서 펼쳐내고자, 무엇인가 좋은 일이 일어날 것만 같은 기분좋은 떨림있는 상태, 도시 서울의 창조적인 에너지를 그득한 문화와 차별화한 다채로움으로 넓게 펼쳐냈습니다.

    주의 깊게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창조적이고 주체적인 사람, 열린 마음으로 내면으로부터 몸의 연결과 균형을 조율하며 삶을 창작해나가는 이, 고유한 문화와 취향에의 열의를 지닌 사용자를 투영하여 몰입감있는 특화 경험을 설계하고자 정번과 구색, 큐레이션 등 상품라인에 따른 각 진열 시스템을 정교화하였으며. 층별 조닝과 기획으로부터 착안한 장내의 내러티브를 설계하고 VMD 전략의 기초를 마련하였습니다.

    공간 운영을 돕는 작은 규칙들을 세심하게 돌보며, 브랜드 스토리텔링을 대담하게 드러내는 물성으로 동시대 디자인과 예술적인 면모를 강화하여 상향된 올리브영의 비전을 드러내고, 자연스럽고 리드미컬한 몰입을 촉발하고자 시각을 넘어선 감각 자극을 통한 경험 유도 지점을 기획하고 제작했습니다.


    Photograph by Maeng Min Hwa.
    Project Details
    TYPES OF WORK.  VMD Strategy & Design, Signage & Message System, Prop Styling Guide, Immersive Interaction & Sensorial Activation Touchpoints
    USE.  Launching OLIVEYOUNG N SEONGSU
    NAME.  OLIVEYOUNG N SEONGSU
    COLOR.  Various
    DIMENSION.  Various
    MATERIAL.  Various
    CLIENT.  CJ Oliveyoung
    YEAR/PLACE.  May 2024 ~ Dec 2024 Seoul













    1. VMD Strategy & Design
    ◦ All Live Young in the Moment — with Beauty, in Flow
    ◦ Olive Young N Seongsu — in the Zone, in the Groove
      1. Aesthetic Strategy and Storytelling by Floor
      2. Zoning-Based Experience Design & Sensory Touchpoints
      3. Standard Planogram & Display Guidelines
      4. Brand Modular Display Guidelines
      5. Signage & Pop System Guidelines
      6. Message-Embedded Object
      7. Furniture & Lightings Selection
      8. Curated Artworks, Books and Music Albums







    GF
    Delight Project







    2F
    Luxe Edit   |   Perfume Library   |   Color Makeup   |   Mens Edit







    3F
    Wellness Edit   |   Daily Skincare   |   Active Skincare   |   Hair & Body   |   Food Market








    more information soon





    — View More Works in  #strategy  #vmd  #styling  #oliveyoung  #2024




    JOSUN HOTEL KIMCHI — Identity Systems



    조선호텔 김치는 셰프의 손맛에 깃든 장인정신, 조선 고유의 미학과 정교한 호텔의 레시피를 오늘의 감각으로 풀어낸 프리미엄 김치 브랜드입니다. 꾸밈이 단정하여 속내의 깊이를 해치지 않으며 우아함을 더하여 브랜드 자산을 정제하고, 탄탄이 쌓아올려 조선호텔 김치의 내일을 그려내고자 했습니다.

    한식의 본질을 지켜내는 맑고도 깨끗한 바탕 위에 필력이 살아있는 서체의 기운을 담담하게 드러내면서, 고딕 양식의 옛 조선호텔 건축 드로잉, 올을 드러내어 엮으며  한층 정밀하게 재구성한 빗살무늬 패턴, 마스터 브랜드의 헤리티지를 담은 색상 팔레트까지 — 전통의 맛을 살리면서도 오늘의 시선으로 해석하여, 디자인 시스템을 풍요롭게 아우르는 고유한 언어로써 스타일 전략을 완성했습니다.


    More Information Soon.
    Project Details
    TYPES OF WORK.  Brand Visual Identity Basic & Application Design Systems, Photographic & Verbal Guide
    USE.  Refining the Brand Identity of Josun Hotel Kimchi
    NAME.  Josun Hotel Kimchi 
    COLOR.  Various
    DIMENSION.  Various
    MATERIAL.  Various
    CLIENT.  Josun Hotels & Resorts
    YEAR/PLACE.  Jun 2023 ~ Nov 2024 Seoul






    I. Brand Identity Manual — Basic System
    ◦ Brand Introduction
      1. Brand Philosophy
      2. Brand Essence & Tagline 
      3. Brand Story

    ◦ Basic System
      1. Logo (Wordmark)
      2. Graphic Elements (Premium USP Mark)
      3. Pattern
      4. Color Palette and Usage
      5. Typeface Guidelines


















    more information soon






    — View More Works in  #strategy  #identity  #josunhotelsandresorts  #2023  #2024




    OSULLOC — A Sacred White Deer Walks the Mist of the Tea Garden



    차는 자라나는 땅의 지리적 특성에 따라 저마다 다른 풍미를 지닙니다. 오설록은 1979년, 거칠고 단단한 돌밭을 개간해 만든 돌송이 차밭을 시작으로, 서광, 한남 등 제주 전역에 차밭을 일구며 오롯이 이 땅에서만 나는 찻잎을 길러왔습니다. 그러한 오설록의 차밭을 배경으로, 자연의 아름다운 색으로 채색된 하나의 정원을 상상하고 그려낸 ‘차의 정원'을 위한 일러스트레이션 작업입니다.

    백록(白鹿)은 흰 사슴으로 예로부터 신과 자연을 잇는 영물로 여겨졌습니다. 오후의 빛이 스며든 온실 너머 정성스레 다듬어진 잎과 열매, 차의 원물들을 향해 그 시선이 머뭅니다. 은은하게 비쳐보이는 흰 빛은 차의 원물을 탐구하고 가꾸는 정원가의 마음을 조용히 굽어보는 듯합니다. 생명을 머금고 자라나는 식물과 열매, 제주의 햇살과 바람을 포착한 장면을 백록의 영롱한 시선으로 전하는 차의 정원 이야기입니다.

    more information soon

    Project Details
    TYPES OF WORK.  Conception and Artwork for Package Design
    USE.  Osulloc Tea Garden Collection Renewal
    NAME.  OSULLOC
    COLOR.  Various
    DIMENSION.  Various
    MATERIAL.  Various
    CLIENT.  OSULLOC
    YEAR/PLACE.  Jul 2024 ~ Nov 2024 Seoul






    Conception.
    멀리 펼쳐진 차밭을 뒤로하고, 오설록의 차 정원은 고요히 그 자태를 드러냅니다. 바람이 멈춘 안온한 장면 속에서 자라나는 식물은 차의 재료로서 원물의 깊은 맛을 머금고, 제주 고유의 빛과 바람이 어우러져 풍요로운 생명의 기운을 품습니다. 저녁 무렵에는 뜻밖의 신성한 방문이 정원을 감싸며 신비로운 분위기를 자아냅니다.

    간결하고 정교한 라인 드로잉 위에 원물이 지닌 풍부한 색조를 겹겹이 입히고, 빛과 그림자의 미묘한 명암 표현을 더해 깊고도 밀도 있는 조형미를 완성하였습니다.







    Design List.
    OSULLOC Tea Garden Package
    ◦ Design Conception
    ◦ Key Visual for Cover Artwork
    ◦ Botanical Ingredient Illustrations and Pattern Creation









    — View More Works in  #illustration  #package  #osulloc  #2024




    OSULLOC 1979 — Time and Space in a Sensory Tea Experience



    오설록 1979는 용산에 자리한 아모레퍼시픽 빌딩 1층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한국의 고미술로부터 세계의 현대미술을 기획, 전시하는 공간인 아모레퍼시픽 미술관과 세계 곳곳의 전시자료를 아카이빙한 apLAP를 곁에 둔 지식과 미감의 차원 높은 아우라가 남다른 공간이면서, 오설록의 브랜드 헤리티지를 오늘의 사용자와 감도 높게 만나는 곳입니다.

    제주 — 차밭을 비추는 매일의 태양과 굽이치는 차밭의 이랑을 따라 일렁이는 초록의 물결 — 자연을 새롭게 상상하고, 가장 깊은 곳에서 공명하는 내밀한 차의 시간과 공간을 오설록의 미학으로써 감각적으로 그려냈습니다.

    아원공방 - 애프터눈티를 위한 2단 트레이 시스템, 스튜디오 석영 - 시향 테스터와 트레이 목물, 이혜미 - 두가지 디자인의 다관과 다잔, 최유정 - 옻칠 오리가미 스콘상자, 윤여동 - 금속 다구 트레이 등 주요 제작기물의 협업창작자는 물론 많은 부문에서의 기술 협력과 오설록 크리에이티브팀에 감사드립니다.

    Photograph by Maeng Min Hwa.
    Project Details
    TYPES OF WORK.  Conception, Objet and Teaware, Graphic Design
    USE.  Redesign Osulloc 1979
    NAME.  Osulloc 1979
    COLOR.  Various
    DIMENSION.  Various
    MATERIAL.  Various
    CLIENT.  OSULLOC
    YEAR/PLACE.  Feb ~ Sep 2024 Seoul










    In Harmony with Space


    오설록 1979의 새로운 공간 디자인에서 널리 쓰이는 다양하게 가공된 금속성 마감재는 차갑고 현대적인 인상과 함께 그 과감성으로 인해 관능적인 분위기를 자아내기도 합니다. 높이 바라다보이는 구조적 아름다움을 지닌 공간의 미학과 결을 맞추어 장식성을 최소화하며 날아갈 듯 가벼운 선과 면으로 기하학적인 아름다움 그 자체로써 디자인을 매만졌으며, 오설록의 시그니처 그린 색조를 기물에 작은 점처럼, 때로 연기처럼 더해나가며 공간과 조응하고자 했습니다.


    A Soft, Transparent Textures with Geometric Form


    제주의 자연을 모티프로, 산과 들 바다의 너른 품을 연상시키는 다채로운 미식경험을 선사하는 티푸드와 티칵테일을 새롭게 선보이며 오설록 고유의 명차와 순수차 계열을 아우르는 것으로써 감각 그 자체에 닿는 이질적인 대비를 기하학적인 조형과 대담한 물성으로 제안하였으며, 이와 대조되는 부드럽고 회상적인 색조를 사용하여 섬세하고도 기민한 인상을 더했습니다.

    Reimagining Traditional Craftsmanship


    입술과 손길에 닿는 다구는 개인의 기물이면서, 오설록, 한국의 차가 놓인 공동 공간이기도 합니다. 테이블 위의 귀한 오브제이며, 사용하며 정감을 느끼는 따스함과 새로운 멋을 전하고 싶어 서울의 공방들과 협업하여 실용에 합하며 고유한 아름다움을 지닌 다관과 다잔, 숙우와 티푸드 컨테이너, 플레이팅 등을 입체적으로 모색하였습니다. 장인정신에 깃든 고아한 손맛과 시간에 낡지 않을 소담한 시선을 나누며 오설록이 연상하는 차의 감각을 새롭게 선보입니다.


    Echoes of Synesthetic Experience


    바이닐 음반을 연상시키는 메뉴판과 연속되며 공간을 높이 가로지르는 틴케이스 등 미니멀한 공간 디자인에 시각적으로 합하는 연출물로써 그래픽은 차향과 특별 제작된 음원이 은은하게 남기는 잔상과도 같습니다. 음의 파동이 그러하듯 느슨한 움직임과 미묘하면서도 서로 혼합되어 리드미컬하게 보이는 색상 팔레트는 클래식한 조형을 지닌 정제된 디자인의 서체와 어우러져 오설록 1979 브랜드의 감수성을 시적으로 표현합니다.









    Design List.
    ◦ Design Conception and Visualization
    ◦ Application System
      1. Menu Book Design
      2. Tin Case Design
    ◦ Styling and Visual Merchandise Design
      1. Tea Ware and Tea Trolley
      2. Tea Scent Tester
      3. Menu Presentation Guidelines
    ◦ Production Supervision & Fabrication Oversight



      SCENERY of OSULLOC 1979














      more information soon








      — View More Works in  #artdirection  #spacestyling  #vmd  #product  #osulloc  #2024




      RELATED PROJECTS

      ︎


      Catalog for Chapter 1




      라이프스타일 편집 매장 챕터원, 성북동에 위치한 두번째 매장 챕터원 꼴렉트 그리고 자체 브랜드인 스틸라이프의 제품 컬렉션을 담은 카달로그입니다. 아티포트, GTV, 오피니언 키아띠 등 아름다운 오리지널 디자인 컬렉션을 소개합니다.

      Produced by New Press
      Project Details
      TYPES OF WORK.  Graphic Design, Editorial Design 
      USE.  Catalog for Store
      NAME.  Chapter 1 Collection Catalog
      COLOR.  Various
      DIMENSION.  217×240×4 (mm)
      MATERIAL.  Paper
      CLIENT.  Chapter 1
      YEAR/PLACE.  May 2017 Seoul












      — View More Works in #editorial  #2017




      Linkplace Official


      Linkplace의 브랜드 리디자인 일환으로 웹사이트를 기획하고 디자인하였습니다. 링크플레이스에서 소개하는 브랜드와 디자이너들의 소식, 링크플레이스에서 제공하는 세심한 커스터마이징 서비스와 철학 등 다양한 컨텐츠를 소개하고 있습니다.
      Project Details
      TYPES OF WORK.  Web Design & Publishing
      USE.  New Website for Linkplace
      NAME.  Linkplace Official
      COLOR.  Various
      DIMENSION.  Various
      MATERIAL.  Various
      CLIENT.  Linkplace
      YEAR/PLACE.  2018 Seoul










      — View More Works in #digital  #identity  #linkplace  #2018





      Linkplace Application System



      Linkplace 링크플레이스 새로운 심볼과 로고에 더하여 구매고객 응대를 위한 세일즈키트, 바인더 등의 어플리케이션 시스템과 스테이셔너리를 만들었습니다. 정성스럽게 패브릭으로 감싸고 질감이 있는 종이를 사용하여 손에 닿는 부분에 대한 감도를 높히고자 했으며, 실크스크린 기법 등 표면의 색감은 줄이되 재질상의 풍부함을 추구하였습니다.
      Project Details
      TYPES OF WORK.  Brand Identity Design, Graphic Design
      USE.  Application System
      NAME.  Linkplace Application System
      COLOR.  Various
      DIMENSION.  Various
      MATERIAL.  Various
      CLIENT.  Linkplace
      YEAR/PLACE.  2018 Seoul




















      — View More Works in #digital  #identity  #linkplace  #2018





      Linkplace 2018 Fall Images



      Photographed by 88 Studio, Maeng Min hwa.
      Project Details
      TYPES OF WORK.  Art Direction for Photo Production, Set Styling
      USE.  Brand System Renewal
      NAME.  Linkplace New Identity
      COLOR.  Various
      DIMENSION.  Various
      MATERIAL.  Various
      CLIENT.  Linkplace
      YEAR/PLACE.  2018 Seoul, Linkplace Showroom









































      — View More Works in #artdirection  #identity  #linkplace  #2018




      manuelle et guillaume 2018 Spring



      Photographed by 88 Studio, Maeng Min hwa.
      Hair & Makeup by Jang Hae In
      Model by Son Chae Eun
      Project Details
      TYPES OF WORK.  Art Direction for Photo Production, Fashion Styling
      USE.  Launching 2018 Spring Collection of manuelle et guillaume
      NAME.  manuelle et guillaume 2018 Spring
      COLOR.  Various
      DIMENSION.  Various
      MATERIAL.  Various
      CLIENT.  manuelle et guillaume
      YEAR/PLACE.  February 2018 Seoul, 88 Studio










      — View More Works in #artdirection  #digital  #manuelleetguillaume  #2018




      Copyright © 2012-2025 ARABY. Instagram at Araby.kr